|
|
|
|
 |
빅 브래든 테니스 컬리지 (VIC Braden Tennis College) |
|
1. 소개 (내가 경험한 vic Braden Tennis Academy와 Robert Work Out) |
|
1. 그룹레슨의 마술 by Vic Braden |
|
|
그룹레슨은 개인레슨보다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왜냐하면 어떤 기술을 익히게 하는데 더욱 효과적이며 그것은 사회적 기술을 강화하기 때문이다.
많은 유명한, 성공한 비즈니스맨과 교육자들은 오래 전에 좀처럼 다른 클래스 맴버들을 알지
못했던 부끄럽고 수줍어하는 어린아이로써 내 클래스에서 시작했다.
나는 그들의 현재 성공은 그룹레슨과정에서 배웠던 기술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룹레슨은 또한 재미있다. 그리고 테니스에 관한 가장 재미있는 나의 기억은 이 레슨에서
일어났던 멋진 것들이다. 그룹레슨에 참가한 나의 학생들은 대단히 열심히 했고 우리는 전시간
내내 웃었다. 내가 그룹을 지도하기를 좋아하는 것은 분명하다.
이런 종류 레슨의 효율성에 대한 증거로써 내가 1960년대 캘리포 |
 |
|
니아에 있는 잭 글래머클럽에서
가르쳤을 때, 많은 주니어 선수들을 배출해 냈다. 그리고 그들 대부분은 그룹레슨에서 성장하였다. |
|
 |
[가치 있는 평생 기술] |
|
그룹레슨에서 학생들이 얻은 수많은 사회적 기술은 소중하지만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참여자가 "받는 것" 보다 어떻게 "주느냐"를 배우는 것이다.
전문적인 레슨에서 학생들은 서로에게 칭찬이나 지지(support)해 주는 것을 배워야 한다.
오늘날의 스포츠에서 "주는 것을 배우는 것은" 일반적으로 "짧은 기간에 획득한 증진"과 같은 기술로 여겨진다.
또한 그룹레슨은 자기자신이 자신의 기술을 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그(또는 그녀)가
얼마나 소중한지를 알게 하고 자신감을 고취시키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
|
 |
[코치가 향상될 때 그룹실력이 향상된다(코치의 실력이 향상될때)] |
|
코치가 그룹지도를 위해 더 많은 기술을 획득할 때 레슨은 더욱 생산적이게 되고 흥미롭고 더
재미있다. 향상에 요구되는 두 가지 기본적인 코치기술을 "듣기"와 명확하고 적절한 명령(지도)"
하기이다. 후자의 예는 실제 플레이 상황과 관련한 반복훈련으로 학생에게 설명하는 것이다.
개인레슨에서 코치가 많이 반복함으로써 학생들은 지시에서 의미하지 않은 숨겨진 의미를 가려
낼 수 있다. |
|
육체적으로나 정서적으로 학대하는 가족출신인 아이와 같은 많은 학생을 이해하는 것은 코치의
책임이다. 분명히 코치는 아마츄어 심리학자가 될 수는 없다. 그러나 그는 학생들에게 그들이
그들에게 가장 가치 있는 시스템으로 배울 권리를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에게 묻는다: "너는 내가 훈련 관처럼 가르치길 원하니? 아니면 부드럽게 지도하길 원하니?
두 가지 중에서 네게 가장 좋은 것은 어떤 것이니?"
당신이 그러한 질문을 한 후 당신이 그 대답을 존중하고 그 대답에 맞는 지도를 준비하는 것은 중요하다. |
|
당신이 학생에게 관심이 있다면 |
|
특정한 아카데미 레슨은 코치가 그들의 기술을 확실히 향상시키게 돕는다.
중요한 코칭 기술은 코치가 레슨 중 그 학생을 위해 좋은 가치관이나 도덕을 가르쳐주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
|
 |
[중요한 그룹 코칭 기술] |
|
① 각 학생의 독특한 자질에 대한 진심 어린 평가를 하라.
② 모든 학생에게 배울 수 있는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라.
③ 학생에 대한 부정적인 점을 찾기보다는 좋은 점을 발견하는데 열 배 더 노력하라.
④ 통찰력 있는 듣는 이가 되는 법을 배워라.
⑤ 학생의 모든 상황에 대한 진심 어린 관심을 수업시간 동안만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찾아라.
⑥ 티칭에 흥미를 갖고 꾸밈없이 즐겁게 가르쳐라.
⑦ 어떻게"와 "왜"를 설명하면서 학생들의 배움의 세계로 들어가라. |
|
학생들이 당신을 그 세계로 끌어 들어야 한다. 당신은 좋은 모델로써 그들의 신뢰가 보증 되었음을 확신해야 한다.
개인적으로 당신에게 말한 것을 그들의 부모에게 말하기 전 학생에게 허락을 구해라.
만약 학생이 거절하면 그의 부모가 알아야 할 중요성을 설명하라.
코치가 학생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통찰할 수 있다면 더욱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을 것이다.
배움은 상호 보완적인(two-way) 과정이다. |
|
 |
[큰 그룹, 작은 공간, 그룹을 코치하는 것에 대한 조언] |
|
내 오랜 친구 Paul Xanthes (USPTA 프로)는 작은 코트에서 큰 그룹을 지도하기 위한 내가 본 중 가장 좋은 시스템을 가졌다. 그리고 그는 USPTA 세미나를 통해 우리 대부분을 교육했다. 그는 우리에게 타자로서, 학생코치로서, 던지는 사람으로서 던지는 사람의 보조자로서 등 코치로서의 위치를 인식 하도록 가르쳤다.
이것은 내가 후에 두개의 코트에서 백 명의 학생인 한 클레스를 가르쳤을 때 매우 유용했다. 특별히 코트에 색을 칠하고 포핸드, 백핸드, 발리, 하프발리, 그리고 어프로치샷에 대한 바람직한 패턴으로 큰 그룹을 움직이고 공치기를 할 수 있도록 했다. |
|
"학생이 학생을 가르치기"는 우리가 사용할수 있는 가장 좋은 피드백(feed back)의 하나이다. 내가 캘리포니아의 Chadwick 고등학교에서 가루쳤을 때 학생들이 바람직한 학습이 일어났을 때를 확인케 하기 위해 심지어 학생이 선생을 가르치게 했다.
음식점 요리사에서 높은 지위의 학교 경영자들까지 모두 하도록 했다.
그것이 학생에 대한 새롭고 긍정적인 견해를 갖게 되었고 가르친 학생들은 그들의 선생에 대해 같은 생각을 갖게 되었다. 학생선생들은 선생이 되기가 얼마나 힘든지 학생들의 분산된 주의를 집중케 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지 못했었다고 말했다. 선생이 다시 그들의 수업을 지도할때 학생들은 더 많이 집중했다. |
|
매일 똑같은 그룹레슨으로 고민하는 코치들은 독특한 훈련과 생각에 대한 스크랩북을 만드는 것을 생각해 보라.
만일 있다면 여러해 동안 시도하지 않은 100가지 이상의 드릴을 그 리스트에 더 첨가해라. 독특한 훈련에 관한 책은 더 빨리 분명하게 하고 코치를 위한 좋은 근원을 제공하게 할것이다.
성공적인 훈련을 위한 열쇠는 학생의 모든 활동이 어떤 목적을 갖게 하고 그 학생에게 그 목적을 설명하는 것이다. 이것은 학생에 의해 자기평가를 증진케 하는 훈련시스템 만큼 중요한 것이다. |
|
당신의 학생과 그들의 부모에게 당신의 지도(coaching)에 대해 평가할 것을 당부하라.
그리고 그들의 진척상황을 보고하라. 어떤 사람은 불만족하다면 그들이 레슨을 그만두거나 다른 학생에게 불평을 하기 전에 미리 그것에 대해 아는 것 이 더 낫다. 어떤 코치들이 학생과 그들의 부모에 의해 평가되는 것을 그만두게 하는 것 에 나는 매우 놀랐다.
이것은 지도 방법을 교정하는데 매우 좋은 과정이다. 어린 학생에 대한 현명한 대처방법은 일년에 두번 "부모-선생"의 만남을 통해 최근 아이의 추이에 대해 말하고 그들의 관심사에 대해 듣는 것이다. 지속적인 접촉은 매우 중요하다. |
|
그리고 컴퓨터 시대에 코치는 근본적인 문제를 취한 행동 그리거 결과, 각 학생에 대한 미래 계획을 문서화할 것을 많이 요구되고 있다.
워드프로세서로 당신의 관찰, 레슨내용, 다음레슨에 대한 주제 그리고 내주어야 할 숙제에 대한 간단한 노트를 만들어라. 당신이 학생의 세계를 이해하도록 돕는 어떤 것이든 기록하라. 가령 만일 화가 났다면 수업 중 언제 화가 났는지 노트하라. 그리고 상황까지도.
학생은 화가 났을 때 배울 기분이 들지 않는다. 그러나 나중에 코치는 화남에 대해 대화를 이끌수 있다. 컴퓨터가 불편한 코치들은 간단한 파일 카드 노트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전문가로서 학생에 대한 파일 카드 박스를 써라.
거기에 그 주 동안 그 들이 연습했던 것, 도움을 필요로 하는 부분, 그들의 문제점과 관심사를 기록할 수 있다.
컴퓨터이던 종이든 당신이 학생을 가르치기 바로 전 이러한 내용을 숙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는 서투른 코치들이 레슨의 시작에서 반복적으로 하는 말을 막을 수 있다.
" 자 지난주에 우리 어디까지 배웠죠?" |
|
 |
[기억해 두어야 할 사항] |
|
효과적인 그룹레슨을 위한 다섯 가지 핵심요소는 능동적 활동, 각각의 위치와 훈련에 대한 목적, 피드백, 긍정적- 지속적 변화에 대한 측정, 그리고 재미이다. |
|
① 활동 |
|
젊은 사람들은 의미 있는 활동을 원한다 비 활동성은 그들을 해친다.
코트에서 그들을 계속 분주하게 하라. 그러나 그것을 육체적 활동에만 제한시키지 마라.
당신의 지시에 있어 구술적인 행동을 사용하라.
공간을 채워서 말하지 말고 목소리에 힘을 실어라. 그리고 수직적인 말보다 능동적인 단어를 더 사용하라. |
|
② 각 위치 혹은 훈련에 대한 목표 |
|
실제 경기와 관련 있는 실질적인 훈련에 대해 설명하라. 그리고 경기자의 게임을 향상시킬 방법에 대해 설명하라. 그 원인에 대한 이해는 학생이 움직임의 중요성을 알도록 그리고 지시를 받아들이는 것을 도와준다. |
|
③ Feed back |
|
코치는 학생에게 조언할 필요가 있지만 또한 학생으로부터의 feedback도 필요로 한다.
학생이 당신에게 무엇이 효과적이고 무엇이 비효과적이었는지 말하도록 격려하라.
활동은 어떤 느낌인가: 학생은 당신이 그들에게 말한 것을 제대로 이해했나: 바꿔서 코치는 학생이 본인이 올바르게 했는지 알도록 해야하며 향상하는 방법도 알도록 지도해야 한다.
Feed back은 가능한 한 하나의 내용에 제한되어야 한다. 우리는 너무 많은 피드백을 하는 경향이 있다. 만일 당신이 치는 것을 하고 있다면 치기에 대한 당신의 조언만을 말해라. 잘못된 손이나 발에 대한 설명은 덧붙이지 마라. 가능한 한 많이 학생들이 해야 할 것의 수를 줄여라. |
|
④ 긍정적 - 지속적 변화 측정 |
|
학생들은 종종 짧은 기간에 획득하려 하지만 2주 후면 잊어버린다.
석 달마다 15분 동안 학생의 모습을 녹화하라. 그러면 그해 말에 당신은 더욱 효과적으로 변한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어떤 사람은 연습은 잘 하지만 게임은 서툴게 하는데 그래서 게임동안의 그들을 녹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
|
⑤ 재미 |
|
웃음은 혼자는 재미있지 않다- 코치는 그가 거기에 있는 것을 좋아하고 학생을 지도하는 것을 즐기는 것을 전달해야만 한다.
재미는 나눌 때 - 신뢰할 때 유용한 정보가 보급될 때 그리고 불명확성이 부재할 때 더 쉽게 일어난다. 혼란스런 학생은 재미를 느낄수 없다. |
|
 |
[An academic teaser : 변칙적인 연습] |
|
Dr. Richard Schmidt 연구소는 그룹레슨의 잠재력 가치에 대해 내게 광명의 빛을 비춰 주었다. 이 매력 있는 분야는 내가 더 연구하기로 결심한 것이다.
그래서 Schmidt와 나는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 테이프를 공동으로 연구하기로 했다.
Schmidt의 정의는 "배움의 원천은 연습 경험, 숙련된 실행으로써 지속적인 변화를 이끄는 것이 함께 모인 하나의 과정이다"라는 것이다.
"배움은 바로 눈에 띄는 것이 아니라 생산물인 것이다."라고 Schmidt는 말한다. "지속적인 변화"는 코치에 대해 큰 암시를 갖는다. : 우리는 항상 레슨 때마다 지속적인 배움이 아니라 짧은 기간에서의 획득을 기대한다. Schmidt's의 책 「Motor Learning and performance」는 읽어볼 가치가 있다.
"blocked"와 "random"에 관한 부분은 만약 당신이 그것을 읽는다면 밤을 지새우게 할지도 모른다. 일반적으로 치는 문제(Stroking problem)는 향상 될 때까지 계속해서 같은 샷 을 치는 것으로 해결 된다고 생각한다. 변칙적인 연습(Random practice)은 특정한 샷 에 단지 하나 혹은 두 개의 볼을 치고 다른 스트로크로 진행할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나서 random한 베이스로 바람직한 stroke로 돌아갈 것을 제안한다. 긴 기간의 배움은 변칙적 과정에서 보다 자주 등장한다. 왜냐하면 사람의 뇌는 작업에서 다른 작업으로 이동할 때 다르게 데이터를 진행시키기 때문이다. 이를 위한 매우 실질적인 증거가 있다. -John Shea와 Robert
Morgan에 의한 연구를 포함 - 이는 테니스 지도자를 위한 중요한 암시를 갖는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나는 60-70세의 테니스 코치를 인터뷰했고 아무도 random이 block practice보다 더 유용하다고 생각지 않았다.
테니스 경기는 변칙적이나 우리는 짜여진 학습으로 연습한다. 그러나 그룹레슨은 대부분의 개인레슨보다 변칙적 연습에 더 적합한 상황을 제공한다. 사실 성공한 많은 탑 플레이어(만부 캘리포니아에서 가르쳤던)들은 blocked practice보다 더 변칙적 연습을 했다.
왜냐하면 그룹훈련의 성격이 random하기 때문이다. 왜일까?
학생들은 그룹연습에서 다른 학생의 것을 치고 전문가의 혹은 볼 머신이 하는 것과 같은 상황의 볼을 갖지 못한다.
그룹레슨에서 학생들은 stroke 마다 더 적은 hit를 위해 준비해야 하고 반 학생에 의해 친 shot으로 더 다양한 hit를 위해 준비해야 했다.
문제점은 학생들에게 random practice의 개념을 소개해 주는 최적의 시기이다.
테니스에서 그것은 학생들이 처음 오리엔테이션을 갖고 각각의 stroke에 관한 기본적 기술을 발달시켰을 때가 최적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러나 이것은 여전히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Motor Learning 분야에 있어서 발전은 단지 가르침이 학생과 마찬가지로 선생을 위한 배우는 과정의 한 부분이다. 이는 우리의 직업이 계속 살아 있고 서장 하도록 한다. 우리가 우리 자신 그리고 학생들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발견할 때 그룹레슨은 가능성을 낳는 멋진 방법으로 제공될 것이다. |
|
|
|